[중앙방송, 김영진 기자] 농촌진흥청이 추진하고 있는 ‘농촌생활개선사업’에 참여한 여성 농업인 10명 가운데 8명이 사업 참여 이후 삶의 수준이 높아졌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농촌생활개선사업이 시작된 1957년 이후 처음으로 농촌생활개선사업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됐다.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10월 한 달간, 한국생활개선중앙회 회원 311명을 개별 면접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여성 농업인의 사업 참여시기는 1970년대 15.1%, 1980년대 34.7%, 1990년대 31.8%, 2000년대 18.3%였다. 응답자 66.2%는 ‘농촌생활개선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끈 경험이 있다’라고 답했고 활동을 주도한 기간은 평균 8.9년으로 나타났다.
참여한 사업 분야는 ‘전통?향토 음식 전승과 자원화 사업’이 75.2%로 가장 많았으며, ‘농촌 식생활 및 영양개선/전통 생활문화 전승’은 각 64.0%, ‘농산물 가공기술 보급’ 60.89%, ‘의생활 및 피복 장비 지도’에는 59.2%가 참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이 시작된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농촌 생활 수준 개선에 기여한 정도를 알아보는 질문에는 ‘주생활 개선과 부엌 개량’이 4.43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전통?향토 음식 전승과 자원화’ 4.41점, ‘농산물 가공기술 보급’ 4.30점, ‘농번기 탁아소 운영’ 4.27점, ‘농작업 환경개선과 보조구 사업’ 4.26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메탄가스 이용 사업’은 3.79점으로 가장 낮았다.
사업 참여가 마을 내 사회적 관계에 미친 영향으로는 마을 행사 참여 기회가 많아졌고(4.34점), 마을 자원봉사 활동이 늘었으며(4.27점), 사회적 관계(4.18점)와 공동체 의식(4.15점), 마을 문제 해결 지식과 기술(4.14점) 등이 좋아졌다고 답했다.
지역사회 활동 측면에서는 ‘내 의사를 더 표현(4.32점)’할 수 있었고, ‘통솔력(리더십)이 향상(4.30점)’됐으며, ‘여성들의 요구를 해결하는 측면에서도 효과적이었다(4.17점)’라고 답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조사 결과를 농촌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농촌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실현할 수 있는 시범사업 모형(모델)을 개발하는 데 기반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한국생활개선중앙회 강현옥 회장은 “우리 회원들의 참여와 노력으로 발전해 온 농촌생활개선사업이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면서 앞으로도 계속 발전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홍석영 과장은 “농촌생활개선사업은 정부 시범사업에 농촌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성공한 것이다.”라며, “이번 평가 결과를 모형화(모델화)해 앞으로 많은 시범사업이 확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