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평창 동계올림픽 끝나고 3년반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 시설 사후관리 안된 하얀 코끼리로 전락


[중앙방송, 박노일기자]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국회의원(광명갑/문화체육관광위)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고 강릉과 평창에 행사후에 쓸모없어져 골칫거리로 전락한 경기장이 7개에 달한다며 평창동계올림픽 시설운영 문제를 지적했다.

임의원이 강릉하키센터, 스피드스케이팅장, 슬라이딩센터 등 7개 시설의 지난 3년간 운영현황을 파악한 결과 총 135억원의 누적적자가 발생했고 수익율은 평균 –78%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의원실이 평창동계올림픽 유산의 사후관리와 관련하여 강원지역 동계종목 관계자를 대상으로 자체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시설들이 잘 활용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6.8%가 ‘아니오’라고 응답했고 45.6%의 응답자가 ‘주요 시설들의 다양한 활용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의 경우 사후활용 계획이었던 전문·생활체육시설로 전혀 활용하지 못한 채 영화촬영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그나마도 5월부터는 개점휴업상태다. 강원도에 의하면 코로나19로 인해 시설을 폐쇄한 것이 아니라 대관신청자가 전혀 없어서 활용을 못하고 있으며 방치된 채 월 전기료만 800만원씩 다달이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동계종목 저변확산 및 발전이라는 건립취지에 전혀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임의원의 설명이다.

반면 서울 월드컵경기장의 경우 경기장 내에 쇼핑몰 영화관 스포츠센터 등 다양한 시설을 설치하여 임대료 등의 수익을 창출한 결과 2019년 58억원의 흑자를 냈으며, 이미 건축비 2,060억원도 모두 회수한 상황이다. 만년적자에서 흑자전환된 장충체육관의 사례도 있다.

이에 대해 임오경 의원은 “평창동계올림픽 시설들도 다목적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적극적인 홍보를 하여 단 1억원의 흑자라도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남북공동개최 요구가 높은 2024년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또 하나의 평화의 제전에 잘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체부가 지자체에만 관리를 떠넘기지 말고 소중한 올림픽 유산들이 가치창출의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감독해 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